오늘은 수업에서 타입에 관계 없이 함수를 생성할 수 있는 일반화 프로그래밍에 대해 배웠다
제네릭을 통해 타입 파라미터 옵션을 줘서 어떤 타입이든 쓸 수 있는 함수를 생성하고 활용하는부분까진 막힘없이 이해했으나... ㅠ
아무 타입이나 전달하지 못하도록 제약을 두는 부분에서 막혔다
뭐랄까 찬찬히 보면 이해는 되긴 하는데, 도대체 이놈을 어떤 상황에서 써먹어야 할지 도통 생각이 나질 않았다
함수의 경우 타입마다 함수를 다 작성해주기 싫을때 쓴다하지만, 제약은 음... 그냥 와닿지가 않는다
이해하려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걸 우짜누 ㅠㅠ
구글링하면서 풀어내야하지 않겠는가
기술부채는 최대한 없애는 쪽으로 공부해보자!
2023-02-08 (자료구조 배움) (0) | 2023.02.08 |
---|---|
2023-02-03 (노트북 구매) (0) | 2023.02.04 |
2023-02-02 (재귀함수 con't) (0) | 2023.02.02 |
2023-02-01 (재귀함수 배움) (1) | 2023.02.02 |
2023-01-31 (첫 스토리) (0) | 2023.01.31 |